thoughts

끊임없이 의심하기 -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인간은 끊임없이 적응한다.
최근에 책을 읽다가 문득 놀란 점이 있다. 내가 글을 읽을 때의 시선 폭이 좁아졌다는 느낌이 든 것이다. 책을 읽는데 내 시선이 문단의 폭까지 가는게 멀게 느껴져서 생각을 해보니, 예전에는 내가 읽는 것의 대부분이 책에 맞춰져있던 데에 반해, 이제 스마트폰을 쓴지도 어언 10년, 스마트폰에서 읽는 가로폭에 적응이 되버린게 아닌가 싶었다. 일반적으로 화면을 디자인할 때도 왼쪽 제일 위가 가장 사람들의 시선이 먼저 가는 곳이고, 너무 텍스트의 가로 폭이 긴 것 보다 짧은 편이 시선이 너무 많이 이동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좋다고 한다. 이는 사람들이 책을 읽는 경험을 토대로 사물을 보는 방식을 익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예를 들어서, 세로 쓰기를 하던 시대의 일본인이라면 지면이나 화면에서 가장 먼저 보는..

Celebrating Steve, 스티브 잡스가 없었던 10년
https://www.youtube.com/watch?v=CeSAjK2CBEA https://www.wsj.com/articles/jony-ive-steve-jobs-memories-10th-anniversary-11633354769 Jony Ive on What He Misses Most About Steve Jobs On the 10th anniversary of Steve Jobs’s death, Sir Jony Ive reflects on their collaborations and friendship: “My understanding of him refuses to remain cozy or still.” www.wsj.com 스티브 잡스가 세상을 떠난지가 10년, 그와 긴밀하게 애플에서 협업했..

필름카메라를 들고 다니면
이제 스마트폰의 화질은 화소가 무의미할 만큼 퀄리티가 좋아졌고, 덕분에 DSLR이나 미러리스같은 카메라도 들고 다니는 게 유난스러워보일 때도 있다. 그래서 새로 산 미러리스는 집 안에 먼지가 쌓이고 있는데, 이상하게 올해는 필름카메라를 더 많이 들고 다녔다. 무겁기도 무겁고, 필름값이며 현상이며 돈은 돈 대로 나가는데 이상하게 더 손이 간다. 아직은 내가 생각하는대로 담아내는게 쉽지가 않아서 36장짜리 롤을 찍으면 실패하는 사진도 많은데도, 한 3장 정도가 정말 마음에 꼭 들어서, 계속 필름 카메라를 시도하게 되는지도 모르겠다. 빛에 예민해서 낮에 들고 나갔다가도 흐리거나 어두워지면 거의 건지는 사진이 없어서, 들고 다니는 빈도에 비해서 많이 찍지도 못했다. 그럼에도 빛만 조금 좋으면 필름 카메라 생각이..

오후 4시부터 새벽 1시, 시차를 거슬러 일한다는 것.
4 to 1. 내 근무시간이다. 다들 4 to 1이 무슨 말인지 헷갈려했고, 9 to 6라는 보편적인 업무 시간이 아닌 오후 4시부터 새벽 1시까지 일한다는 의미라고 덧붙여야 했다. 올해 초에 해외 기업에 원격으로 일을 시작하면서 내 생활 패턴은 거의 붕괴되고 재탄생 되었다. 유럽과는 시차 맞추기 그리 어렵지 않았는데, 미국이 거의 14시간 정도가 차이가 나다보니 통화를 받으려면 아침 일찍 시간대나 늦은 밤 시간대를 무조건 포함시켜서 일을 해야했기 때문에 나온 시간대였다. 그리고 곧 다시 시차가 훨씬 가까운 나라의 팀과 일하게 되어서 다시 생활 패턴을 옮기려고 애쓰는 중이다. 이런 다른 시차살이를 한지 어느덧 6개월 차. 처음 생각한 생활과 다른 부분도 있고, 시작할 때는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들도 많..

도구의 진화 - 툴이 진정한 '도구'가 되는 시대가 올까?
디자이너가 된다는 것은 당연히 포토샵 같은 Adobe 프로그램을 배우고, 자기가 전문성을 가지려는 분야의 프로그램을 익히는 것과 같다고 생각되던 시기가 있었다. 미술이던 디자인이던, 그 쪽으로 진학할 생각이 있다고 하면 자연스럽게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했고, 아마 나와 비슷한 시기에 학창 시절을 보낸 사람이라면... '장미 가족의 포토샵 교실'이라는 책 제목이 낯설지 않을 듯 하다. 그 시절이라고 말하긴 했지만 사실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디자이너의 레쥬메 한 구석에는 종종 여러가지 툴에 대한 숙련도가 적혀있고, 이는 디자이너의 능력까지는 아니여도 어떤 툴을 다뤄서 자신의 작업에 대해 소통할건지 파악하는 정보가 된다. (물론 그 숙련도가 디자이너의 감각과 능력까지 설명하지는 않는다.)..

[후기] 맥주 자격증 씨서론(Cicerone) Certified Beer Server
아는 척 좀 하면서 마시는 맥주 라이프를 꿈꾸며 2020년의 계획 중 하나였던 맥주 자격증 따기. 미국에서 인턴할 때 맥주 자격증에 대해 알았는데 이미 인턴쉽만으로도 생각이 복잡해 도전할 엄두는 못내고, 1단계는 언젠가 따두고 나중에 해외 취업을 하면 시음 실기 시험을 치겠다고 다짐했었다. 하지만 2020년, 세상 모든 이의 삶의 변수였던 코로나... 덕분에 해외취업은 미뤄졌고, 그 사이에 온라인 필기만 치면 되는 1단계를 치기로 했고, 일 때문에 미루다가 퇴사 후에야 여유를 가지고 공부를 시작했다. 시서론(Cicerone)은 미국의 대표적인 맥주 전문가 인증 프로그램으로, 소비자에게 최상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맥주 전문가인지를 인증하는 시험이다. 시서론 말고도 몇 가지 맥주 인증 프로그램이..

postscripts
postscripts / 포트폴리오든, SNS든, 프레젠테이션이든, 완성된 결과물과 그 중 최선의 이미지로만 소통하다보니 과정에 대한 기록이나 생각을 남길 기회가 잘 없다는 게 아쉽게 느껴져서 시작해보는 블로그. [postscripts]에서는 이런 저런 디자인 프로젝트들의 작업 과정, 그 과정 속 생각들을 남겨보려고 한다. 글을 남기는 과정에서 작업에 대해 되돌아보면서 더 깊게 생각해보고, 더 좋은 작업을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길.